스토리북은 무언인가?UI 컴포넌트를 완성된 프로그램으로 생각하게 만들어주는 도구 라고 생각한다.우리는 storybook을 사용하게 되면서, UI 컴포넌트에 대해문서화 작업기능테스트시각적테스트등의 작업을 진행하면서, UI컴포넌트 자체를 하나의 완성된 프로그램으로서 만들어 나간다.문서화 작업 React나 컴포넌트 기반의 프론트엔드 개발을 진행하면, 꼭 겪게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사람 (과거의 나를 포함해서) 이 만든 컴포넌트의 존재를 모르거나, 이해할 수 없는 경우이다. 컴포넌트가 있는지도 몰라서 다시 똑같은 기능의 컴포넌트를 만든다거나, 이미 만들어진 컴포넌트지만 그 컴포넌트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결국 다시 만들어 버린다던가하는 일이다. 아마 React기반의 프론트엔드 개발을 진행해본 사람..
블로그의 몇 년전 기록을 봤을때 부끄럽지 않기는 참 힘들것 같다. 내가 정신적으로 성숙해지더라도, 과거의 기록들은 결국 부끄러운 글들이 될 수 있는 글이 되지 않을까. 그렇지만, 부끄럽더라도 그것을 부정하는 글을 남기고 싶지는 않다. 부끄러운 과거라도 내가 고민하고 내 나름의 합리적인 이유를 가지고 글을 썼다면, 그때의 내가 있기에 지금의 내가 존재하는 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는 그런 글들을 남기고 싶다. 당장 이 카테고리에 있는 글들이 그런 글들이다. 저번주에 쓴 글도 그렇고, 이전의 글들도 그렇다. 특히 사랑을 한다는 것. 진짜 링크 거는것도 조금 부끄러울 지경이다. 그래도 저런 2년전의 생각들도 모이고 모여서 나를 이루고 있다. 그렇기에 미래의 내가 지금의 나를 볼 때 충분히 납득가능하고, ..
대학에 입학을 하고,1학년때는 진짜 코딩을 하는게 좋았다. Python은 정말 많은 라이브러리가 있었고, 내가 하고싶은 코딩을 하면 그것에 대한 답이 분명하게 존재했다.GUI를 이용해 간단한 게임을 만들어 보기도, SNS 채팅 봇을 만들어 보기도 했고, 알고리즘 문제를 풀기도 했다. 뭘 하든 새롭고, 처음이었고 하나하나 해낼때마다 성취감에 몸을 떨곤 했다. 군대를 거쳐 2학년때도 비슷했다. 군대에서는 React와 Web을 알게 되었고, 무궁무진한 Web의 세상에서 많은 것들을 해보고, 경험하면서 나 자신이 성장하는 기분도 받고, 실제로 더 많은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익숙해질 수 있는 시기였다. 또한, Web뿐만이 아니라 AI쪽도 관심이 생겨, AI 연구실도 들어가게 되고, 더 다양한 공부를 할 수 ..
오늘 친구들과 통화를 하면서 여러 이야기를 나누었다. 대부분은 시답지 않은 이야기였지만, 그 중 하나는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었다. 한 친구가 다른 친구의 행동을 지적하며 고치라고 했는데, 이 상황에서 '옳다'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되었다.한 친구가 다른 친구의 행동을 지적하며 고치라고 하였다. 지적받은 친구 역시 현재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만의 사정이 있었다. 여러 가지 나쁜 일이 겹쳐서 신경을 쓸 여유가 없거나, 당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런 상황에서 남이 '지금 너 잘못된 거 아니야? 고치는 게 어때?' 라고 한다면, 오히려 스트레스를 더 받을 것이다.상황이 그렇지 않더라도, 누군가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해서 그것을 지적하며 고치라 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