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기록

개발 기록/Google ML Bootcamp

구글 머신러닝 부트캠프 1주차(4/4)

목차 Deep Neural Network 저번에는 Shallow Neural Network를 살펴봤는데, 이젠 좀 더 깊게 만들어보자 $$ L = 4 (#Layers) $$ $$ n^{[l]} = #units in layers l $$ $$ a^{[l]} = activation in layer l $$ $$ a^{[l]} = g^{[l]}(z^{[l]}) $$ Forward propagation in Deep Neural Network Building Blocs of Neural Network $$ Layer l : w^{[l]}, b^{[l]} $$ $$ Forward => Input: a^{[l-1]}, Output: a^{[l]} $$ $$ z^{[l]} = W^{[l]}a^{[l-1]} + b^{..

개발 기록/Google ML Bootcamp

구글 머신러닝 부트캠프 1주차(3/4)

목차 Shallow Nueral Network 각 layer를 구분하기 위해 $$ a^{[l]} $$ 윗첨자를 붙여 구분한다. 각각의 유닛을 구분하기 위해 $$ a_{u} $$ 아랫첨자를 붙여 구분한다. 하나하나의 unit을 살펴보면 하나하나가 이렇게 구성되어있다. 하나하나의 unit이 각각 로지스틱 회귀를 구성하고 있다. Vectorizing 이것들을 벡터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 하나하나의 훈련예제(training example)들을 한번에 계산 해 볼 것이다. 각각의 훈련예제는 윗첨자 (m)으로 구분한다. $$ z^{(m)} $$ Activation Function 입력을 변환해주는 함수 sigmoid function $$ A^{[l]} = \sigma(Z^{[l]}) $$ $$ a = \fra..

개발 기록/OOP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 (2021.01.03)

목차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 너무도 헷갈리는 개념 둘이다. 사실 별로 크게 차이가 나지도 않긴 하지만. 일단 추상클래스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추상클래스란 구현부가 없는 메서드가 하나 이상 있는 클래스를 추상 클래스라 한다. public class Keyboard{ private int keypressure; public abstract void Keydown(); public void turnOn(){ System.out.println(“turn On keyboard”); } } 이렇게 Keydown()메서드의 구현부가 없는 것. 이것이 추상클래스이다. 그럼 인터페이스는 무엇일까. 인터페이스는 너무 많은 의미로 쓰인다. 여기서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새로운 의미의 인터페이스 이다. 인터페이스는..

개발 기록/OOP

생성자 (2020.11.12)

목차 생성자 객체를 인스턴스화 할 때, 초기 상태를 지정해 주기 위해서 생성자 개념을 사용한다. 각 언어마다 생성자를 지정하는 방법이 다양한데, VisualBasic 에서는 New 키워드로, Swift는 init 키워드로, Java와 C#같은 경우에는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한 메서드로 생성자를 지정한다. 우리는 계속 사용해오던 Java를 사용하여 알아보록 하자. 상속 Slime 클래스의 생성자를 만들어보자. public class slime{ private int hp; private int ATK; private int DEF; public slime(){ // 반환값이 없다! this.hp = 500; this.ATK = 30; this.DEF = 10; } public void tackle() /* ..

시유후
'개발 기록'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